단순 재미를 넘어선 AI 필터

요즘 AI 필터는 단조로운 일상에 새로운 감각과 상호작용을 불어넣는 실험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덕분에, 드라마, 영화, 패션,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로서 각광 받는 중인데요. 이처럼 재미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며 새로운 마케팅의 무기가 된 AI 필터, 과연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 걸까요?
Official WE-AR's avatar
Aug 27, 2025
단순 재미를 넘어선 AI 필터

브랜드를 기억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죠. 이때 개인의 경험이 상당 부분 작용합니다. 브랜드 입장에서 이런 세밀한 면까지 살피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적어도 신선한 ‘경험’은 얼마든지 줄 수 있어요. 바로 브랜드의 특징을 잘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AI와 전략적 바이럴 마케팅을 펼치면 됩니다.

AI 이미지
브랜드의 세계관 확장에 도움이 되는 AI 마케팅 (출처: 핀터레스트)

주로, 캠페인 시점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소재를 이용해요. 긴 설명 없이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시의 적절하게 작동하지요. 눈만 뜨면 범람하는 신기술과 콘텐츠 속에서 이는 깊은 고민 없이도 브랜딩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 전선에 반드시 필요한 AI 기술은 주로 영상으로 릴리즈 되는데요. 필터의 경우 영상 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낳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화된 지브리, 심슨, 픽사 스타일

개인의 재미와 소소한 유머로 승화한 AI의 이미지 변형은 법적으로 큰 문제가 되진 않아요. 다만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한다면 후속 조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실제로 2025년 6월, 디즈니와 NBC유니버설이 LA 연방법원에 미드저니를 상대로 ‘캐릭터 무단복제’ 소송을 걸었습니다. 업계의 ‘공정이용(fair use) 주장’에 정면으로 제동을 건 첫 대형 소송으로 기록되었지요.

2025년 초에는 ChatGPT의 이미지 전환 기능을 이용해 개인 이미지를 지브리 스타일로 바꾸는 콘텐츠가 엄청난 바이럴로 퍼졌는데요. AP통신, TechCrunch, Washington Post, New Yorker 등의 대형 매체가 연달아 이를 보도하며 “미야자키 하야오가 과거 ‘AI는 생명에 대한 모독’이라 비판했다”는 맥락과 함께 저작권·표절 논란을 들추었어요.

애니 캐릭터 필터 (출처: 핀터레스트)
모델의 AR 필터 (출처: 핀터레스트)

현실 마케타라면 꼼꼼히 국내의 법적 사항과 IP 관련된 문서들을 살피겠지만 기본적으로 중립적 묘사를 사용하고 공유 시 출처·권리 고지와 상업적 사용 범위 명시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런 것들이 번거롭고 창의적인 이미지로 그려내고 싶다면 오리지널 스타일 가이드 제작 밖에는 답이 없어요. 이를 위해서는 AI 기술 기반으로 다양한 경험을 가진 전문 기업을 최대한 파악하는 것이겠죠.

여기서 담당자의 설명을 들어도 필터를 봐도 차이점을 잘 이해 못하는 주니어 마케터를 위해 첨단 필터의 종류를 간략히 정리해 볼게요.

AI 필터

AR 필터

VR 필터

정의

인공지능을 활용해 이미지·영상을 변환하는 필터

현실 카메라 화면 위에 가상 오브젝트를 덧씌우는 증강현실 필터

가상현실 공간(HMD·VR기기) 속에서 경험하는 몰입형 필터

기술 기반

딥러닝, 생성형 AI, 스타일 변환, 얼굴 인식 AI

ARKit(애플), ARCore(구글), 얼굴·공간 트래킹

VR 엔진(Unity/Unreal), HMD(헤드셋), 3D 공간 렌더링

주요 기능

그림체 변환, 배경 교체, 실시간 얼굴 보정

가상 소품, 배경 합성, 3D 오브젝트 배치

사용자의 시야 전체를 가상 환경으로 덮는 시각 효과 및 인터랙션

대표 예시

얼굴을 지브리·픽사풍으로 변환

인스타그램/틱톡 AR 스티커, 팝업스토어 AR 체험

VR 콘서트, VR 전시관, 게임 내 시각 필터

코어 의미

새로운 결과물 창출 (창작적 변형)

현실 + 가상 결합 (즉각적 체험)

몰입적 가상 경험 (체험형 확장)

위에이알은 어떻게 AI 필터를 잘 만들까

애니메이션 <Love Live!>의 대표적인 밈, "나니가스키~?"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위에이알<Love Live!> 그림체 필터. 틱톡과 웹에서 사용 가능한 필터입니다. AI필터는 실상 이미지만이 아니라 목소리도 가능한데요. 넷플릭스 <지옥 2>를 홍보하는 AI 보이스 필터도 위에이알에서 만들었죠.

이렇듯 진입 장벽이 점점 낮아지고 있긴 하나 소통과 결과물에서 제작자, 클라이언트 모두가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내놓고 있는 위에이알(WE-AR)의 AI 기술력.

위에이알은 AR과 VR, XR 필터 역시 위에이알이 전문 분야입니다.

AR, VR 베이스의 XR 필터 크리에이티브 (위에이알 쇼츠)

위에이알은 AR, AI 기반 콘텐츠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디지털 마케팅 스튜디오로서 인스타그램, 틱톡, 스냅챗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AR 필터 제작을 오랫동안 만들어 왔어요. 무엇보다 새로운 포맷에 선제 대응하는 능력을 강조하며 창의적 발상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는 마케팅 실무자에게 중요한 인사이트가 될 것입니다.

AI 잘 하는 위에이알의 포트폴리오위에이알 담당자에게 가볍게 문의하기

Share article
Write your description body here.

WE-AR